반응형
반응형
‘해파랑길’은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의 해변길, 숲길, 마을길 등을 이어 구축한 총 50개 코스로 이루어진 750km의 걷기여행길입니다. ‘해파랑길’은 동해의 상징인 ‘떠오르는 해’와 푸르른 바다색인 ‘파랑’, ‘~와 함께’라는 조사 ‘랑’을 조합한 합성어이며, “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”을 뜻합니다.해파랑길 24코스길이:18.4km / 소요시간:6시간 30분 / 난이도:보통>코스소개 *코스개요 - 해파랑길 24번째 코스 울진 구간으로 울진군 후포면에서 기성면을 잇는 구간 - 후포항에서 출발해 등기산공원, 월송정과 대풍헌을 지나 기성 버스터미널에 이르는 구간 - 해안 도로를 따라 숲길과 갯벌, 백사장과 온천이 조성된 힐링 코스..
‘해파랑길’은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의 해변길, 숲길, 마을길 등을 이어 구축한 총 50개 코스로 이루어진 750km의 걷기여행길입니다. ‘해파랑길’은 동해의 상징인 ‘떠오르는 해’와 푸르른 바다색인 ‘파랑’, ‘~와 함께’라는 조사 ‘랑’을 조합한 합성어이며, “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”을 뜻합니다.해파랑길 19코스 영덕 블루로드D길이:15.7km / 소요시간:6시간 / 난이도:쉬움>코스소개 *코스개요 - 해파랑길 19번째 코스이자 영덕구간으로 블루로드 D구간 - 화진해변에서 시작해 장사해변과 남호해변을 거쳐 강구항에 이르는 걷는 길 - 바다와 항구를 지나며 어촌의 생활상을 엿볼수 있는 마을 길로 조성 *관광포인트 - 모래알..
‘해파랑길’은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의 해변길, 숲길, 마을길 등을 이어 구축한 총 50개 코스로 이루어진 750km의 걷기여행길입니다. ‘해파랑길’은 동해의 상징인 ‘떠오르는 해’와 푸르른 바다색인 ‘파랑’, ‘~와 함께’라는 조사 ‘랑’을 조합한 합성어이며, “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”을 뜻합니다.해파랑길 13코스(경북 포항시)길이:19.9km / 소요시간:6시간 30분 / 난이도:쉬움>코스소개 *코스개요 - 양포항에서 출발해 구룡포항까지 구간 - 줄곧 해안을 따라 걸으며 수려한 바다 풍광을 감상, 다양한 문화관광지 위치 - 항구에서 싱싱한 회와 다양한 먹거리를 만나볼 수 있는 코스 *관광포인트 - 이른 아침마다 활어시장이..
‘해파랑길’은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의 해변길, 숲길, 마을길 등을 이어 구축한 총 50개 코스로 이루어진 750km의 걷기여행길입니다. ‘해파랑길’은 동해의 상징인 ‘떠오르는 해’와 푸르른 바다색인 ‘파랑’, ‘~와 함께’라는 조사 ‘랑’을 조합한 합성어이며, “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”을 뜻합니다.해파랑길 4코스(울산 울주군)길이:19.6km / 소요시간:7시간 30분 / 난이도:보통>코스소개 *코스개요 - 해파랑길의 네 번째 코스로 부산 기장군에서 울주군 서생면을 잇는 길 - 임랑 해변에서 출발해 봉태산 숲길, 나사해변, 간절곶을 지나 진하 해변에 이르는 구간 - 부산과 울산의 경계를 넘는 길로 숲길과 해안길을 걷는 코스..
‘해파랑길’은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의 해변길, 숲길, 마을길 등을 이어 구축한 총 50개 코스로 이루어진 750km의 걷기여행길입니다. ‘해파랑길’은 동해의 상징인 ‘떠오르는 해’와 푸르른 바다색인 ‘파랑’, ‘~와 함께’라는 조사 ‘랑’을 조합한 합성어이며, “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”을 뜻합니다. 해파랑길 1코스(부산 남구)길이:16.9km / 소요시간:6시간 30분 / 난이도:보통 >코스소개 *코스개요 - 해파랑길 첫 번째 코스로 부산시 남구 용호동과 해운대를 잇는 해안길 -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출발해 광안리해변과 APEC해변을 지나 해운대에 이르는 구간 - 해식절벽과 동해안의 자연경관은 물론 화려하고 번화한 광안리,..
*일시 : 2024. 10. 26. 토요일 10:00 - 18:00 *장소 : 1코스 : 지리산역사문화관 → 방광마을 참새미골 → 매천사 → 천개의 향나무숲 → 서시천체육공원 2코스 : 지리산역사문화관 → 오미마을(운조루) → 용호정 → 서시교 → 서시천체육공원 3코스 : 지리산역사문화관 → 화엄사 → 구층암 → 용혈암 → 연기암 → 화엄사 → 서시천체육공원(차량 이동) *주최 : 지리산권역 6개 시군 (구례군, 남원시, 산청군, 장수군, 하동군, 함양군) *주관 : 2024 지리산둘레길 걷기축제 조직위원회 (사단법인 숲길) 아시아트레일즈네트워크(Asia Trails Network) *후원 : 대한민국 산림청 *문의 : 2024 지리산둘레길 걷기축제 조직위원회(사단법인 숲길) 055-884-0..